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대구 도시철도 1호선/역 목록

덤프버전 :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대구 도시철도 1호선

1. 설명
2. 운영 중인 역


1. 설명[편집]






  • 취소선 부분은 미개통 구간, 파란색으로 칠해진 부분은 지상역이다.
  • 횡단 기호 설명
    • ○: 승강장에서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
    • △: 대합실 또는 환승통로를 이용하여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
    • ×: 어디에서도 횡단 불가능

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32개 역 중 안심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상대식이다.[1] 또한 소재지가 서구수성구를 지나지 않는 것도 특징. 추후 안심-하양 복선전철 구간이 개통되면 역수가 35개가 된다.


2. 운영 중인 역[편집]


역번역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
형태횡단
1150.0설화명곡舌化椧谷■││■ (지하3층) 파일: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.svg 대구산업선달성군대구
광역시
1161.2화 원花 园
花 園
■││■ (지하3층)
1172.5대 곡
(정부대구청사)
大 谷
(政府大邱廳舍)
■││■ (지하3층)달서구
1183.5진 천
(보강병원)
辰 泉■││■ (지하2층)
1194.3월 배月 背■││■ (지하2층)×
1205.0상 인
(대구보훈병원)
上 仁■││■ (지하2층)
1215.9월 촌月 村■││■ (지하2층)
1226.9송 현
(참조은병원)
松 岘
松 峴
■││■ (지하3층)
1237.7서부정류장
(관문시장·대구공업대학교)
[2]
西部客运站(关门市场)
西部停留場(関門市場)
西部停留場(關門市場)
■││■ (지하2층)남구
1248.5대 명大 明■││■ (지하2층)
1259.3안지랑
(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)
安吉郎
アンジラン
■││■ (지하2층)×[3]
12610.0현충로显忠路
顕忠路
顯忠路
■││■ (지하2층)×
12710.7영대병원
(영남이공대학교)
岭大医院
嶺大病院
■││■ (지하2층)
12811.6교 대敎 大■││■ (지하2층)
12912.3명 덕
(2·28 민주운동기념회관)
明 德
(2·28民主運動紀念會館)
■││■ (지하2층)파일:Daegu3.svg 3호선중구
13013.1반월당半月堂■││■ (지하3층)×[4]파일:Daegu2.svg 2호선
13113.8중앙로[5][6]中央路■││■ (지하3층)
13214.5대구역大邱站
大邱駅
大邱驛
■││■ (지하3층)×파일: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.svg 광역철도북구
13315.3칠성시장[7]七星市场
七星市場
■││■ (지하3층)×
13416.5신 천(경북대입구)新 川
(慶北大入口)
■││■ (지하2층)×동구
13517.4동대구역东大邱站
東大邱駅
東大邱驛
■││■ (지하3층)×파일: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.svg 광역철도
파일:Daegu4.svg 4호선
13618.3동구청(큰고개)东区厅
東区庁
東區廳
■││■ (지하2층)
13719.1아양교
(대구국제공항입구)
峨洋桥(大邱国际机场门口)
峨洋橋(大邱国際空港入口)
峨洋橋(大邱國際空港入口)
■││■ (지하4층)×
13820.1동 촌
(동촌유원지)
东 村
(东村游园地)
東 村
(東村遊園地)
■││■ (지하4층)×
13921.1해 안解 颜
解 顔
■││■ (지하3층)
14022.1방 촌芳 村■││■ (지하2층)
14123.2용 계龙 溪
龍 渓
龍 溪
■││■ (지하2층)
14224.4율 하栗 下■││■ (지하2층)
14325.5신 기新 基■││■ (지하2층)
14426.5반야월半夜月■││■ (지하2층)
14527.5각 산角山■││■ (지하2층)×
14628.4안 심
(혁신도시·첨복단지)
安 心
(革新都市·尖複團地)
│■│(지하2층)
14729.6대구한의대병원司 福■││■ (지상1층)
14835.5부호경일대호산대瑚山大·慶一大■││■ (지상2층)경산시경상북도
14937.0하양대구가톨릭대河 陽■││■ (지상2층)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1 20:48:04에 나무위키 대구 도시철도 1호선/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그러니 가끔씩 종착역인 안심역에서 오른쪽 출입문에 서있는 사람이 있기도 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. 그 사람이 당황하는 건 덤 그러나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지어진 이후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.[2] 구. 성당못(세강병원)[3]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면서 개찰구 분리.[4] 2호선 환승통로를 통한 횡단만 가능.[5] 에듀윌 공무원학원[6]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참사가 일어났던 그 역[7] MS재건병원